전체보기 총 3425 건의 콘텐츠
2010. 8. 10.
2004/03-04 : Special Edition - 우리 시대의 메가트렌드 - 4. 대중문화
‘문화 = 상품, 상품 = 문화’ 시대의 무한한 변주 4. 대중문화 서동진| 문화평론가 homopop@naver.com 지식인이나 문화비평가가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문화나 문명의 위기를 고발한다는 생각은 어느덧 맥을 추지 못하게 된 지 오래이다. 그들이 맡아 하던 역할은 나오미 클라인(Naomi Klein)이 라는 책에서 ‘멋 사냥꾼’이라고 부른 시장조사자들이 떠맡고 있다. 그들은 통신원과 포토저널리스트를 동원해 청소년들이 모여 있는 게토(Ghetto)¹를 누비고, 그들의 은밀한 언어 안에 깃들어 있는 성향과 감수성을 파악한다.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자본주의가 만들어놓은 소비자 욕구 조사의 거대한 정량기법의 사회 통계를 비웃으며 이들은 도시의 인류학자들이 되어 민속지를 쓴다. 과포화된 미디어, 실시간으로 소..
2010. 8. 10.
2004/03-04 : Special Edition - 우리 시대의 메가트렌드 - 3. 소비자와 소비자 심리
‘욕망’이라는 메가 트렌드의 원천, ‘뇌’를 주목한다 3. 소비자와 소비자 심리 성영신 |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 ysung@korea.ac.kr ‘페라리360 모데나·BMW Z8·메르세데스 SLR…. 잘 나가는 스포츠카의 이름들이다. 다임러 크라이슬러사에서 주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스포츠카의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소비자의 뇌섬엽(Insula)은 강하게 자극받는다. 뇌섬엽이란, 예를 들면 배고픈 생쥐가 사료를 볼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으로, 생리심리학에서 ‘보상중추(補償中樞)’라고 일컫는 곳이다. 일 없이 잡지를 뒤적거리다가도 스포츠카의 광고가 실린 페이지에는 눈길이 멈추고, 길거리를 바삐 걸어가다가도 스포츠카를 보게 되면 절로 눈길이 가는 이유가 바로 이 뇌섬엽에 있었다. 그런데 스포츠카를 보..
2010. 8. 10.
2004/03-04 : Special Edition - 우리 시대의 메가트렌드 - 2. 마케팅
4P 마케팅에서 관계마케팅, ‘소비자 통찰’까지의 진화와 변모 2. 마케팅 최재호 책임연구원 | 브랜드전략연구소 jhchoi@lgad.lg.co.kr 들어가며 대부분의 마케팅 교과서는 시장에 대한 기업의 지향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로 그 서두를 연다. 그리고 원가 절감이 주된 이슈인 생산 개념에서 비롯해 품질 향상이 주된 이슈인 제품 개념, 매출 제고가 주된 이슈인 판매 개념을 거쳐 고객 만족이 주된 이슈인 마케팅 개념으로 전개되어 온 점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때 마케팅 개념 또한 신규 고객 창출이 주된 이슈인 4P 믹스 마케팅에서 기존 고객과의 관계 유지를 주된 이슈로 하는 관계마케팅이나 체험마케팅까지 다양한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케팅의 개념이..
2010. 8. 10.
2004/03-04 : Special Edition - 우리 시대의 메가트렌드 - 1. 메가트렌드로 본 우리 시대와 미래
메가 트렌드를 읽는 7가지 코드 1. 메가 트렌드로 본 우리 시대와 미래 공병호 | 공병호경영연구소 소장 gong@gong.co.kr 불과 몇 년 사이에 우리들의 삶은 놀라운 정도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거대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을 떠난 우리들의 삶이란 상상조차 하기 힘들게 되었다. 하지만 조지 길더(George Gilder)는 이라는 저서에서 “네트워크화를 향한 전진은 아직은 초보단계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우리 앞에는 빛과 영상의 병행 이점을 충분히 활용한 밀도 높은 영상정보 소통량과 고해상도 화상회의를 중심으로 하는 ‘범세계적인 시각경제(Global Foveal Economy)’가 대두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세계는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 우리들은 어떤 세계에 살게 될 것인가..
2010. 8. 10.
2004/03-04 : Marketing Guide - NPR 조사에 나타난 2003 한국 네티즌의 변화‘미래의 트렌드’에서 ‘현실화 단계’로 진
‘미래의 트렌드’에서 ‘현실화 단계’로 진입 NPR 조사에 나타난 2003 한국 네티즌의 변화 김경중 선임연구원 | 브랜드전략연구소 kimkj91@lgad.lg.co.kr 1. 들어가며 LG애드 브랜드전략연구소에서는 온라인상의 거대한 소비자 집단으로 등장한 인터넷 이용자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마케팅·매체 및 광고전략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NPR(Netizen Profile Research) 조사를 매년 실시해 오고 있다. 제5회 조사인 2003년 NPR은 2003년 11월 14일부터 12월 5일까지 서울·분당·일산에 거주하는 만 13~49세의 남녀 중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행태, 상품이용 실태, 매체접촉 실태, 라이프스타일 등을 일대일 ..
2010. 8. 10.
2004/03-04 : Culture Club - 시리얼 영화와 영화 관람의 변화
호빗은 왜 모든 걸 한 번에 말하지 않았나? 시리얼 영화와 영화 관람의 변화 정 성 욱 대리 | 영상사업팀 swchung@lgad.lg.co.kr “내년 크리스마스에 다시 만나요.” 지나치게 친절한 완역으로 악명(?) 높은 모 외화번역가의 이 말 한마디가 검게 변해 버린 화면 위에 흰 글씨로 떠오른다. 영화는 끝났다. 정말? 아직 피핀과 메리는 납치된 상태이고, 프로도와 샘은 여정의 반도 가지 않았다. 가야 할 그곳, 머나먼 죽음의 산, 그 분화구를 바라보는 두 호빗의 모습에서 검게 페이드 아웃되면서 “내년 크리스마스에 다시” 만나잔다. 정보에 친숙한 이들이야 물론 사전지식을 통해 영화가 이렇게 이야기를 못 끝낸 채 좌판을 접고 내년에 돌아올 것이라는 것을 알았겠지만, 그냥 완벽한 하나의 기결구조를 가진..
2010. 8. 10.
2004/03-04 : Case Study - 캘빈 클라인(Calvin Klein)
Fashion은 Sex다 캘빈 클라인 (Calvin Klein) 김 원 규 CD | CD2그룹 wkkim@lgad.lg.co.krr 외설과 예술 사이 얼마 전 평소 똑똑해 보이던 한 여자 탤런트가 ‘위안부 누드’라는 해괴망측한 걸 들고 나와 모두를 분노하게 만든 적이 있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은 다시 한번 과거 치욕의 역사에 치를 떨었고, 그들의 불손한 기획 의도에 울부짖었다. 국민들의 분노도 극에 달했다. 급기야는 기획사와 탤런트측이 국민과 위안부 할머니 앞에 무릎 꿇고 사죄했고, 마침내 예의 작품(?)을 소각하기에 이르러서야 진정 기미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불씨는 거기서 진화되지 않고 그 탤런트를 연예계에서 영원히 추방해야 한다는 네티즌들의 성난 목소리가 인터넷 사이트를 도배하다시피 했다. 그 동..
2010. 8. 10.
2004/03-04 : LG애드뉴스
뉴욕페스티벌 AME Awards 금상 등 국내외 광고상 수상 우리 회사가 제작한 ‘나이키 월드컵 캠페인’ 옥외광고물이 뉴욕페스티벌의 2004 AME Awards에 서 금상을 수상했다. 또한 LG화재 매직카 ‘No Worries’편, LG전자 Xcanvas 씨어터 ‘Snail’편도 전파부문에서 Fanalist로 선정됐다. AME(Advertising and Marketing Effectiveness) Awards 는 크리에이티브는 물론 마케팅 효과 측면에서도 성과를 나타낸 광고캠페인을 선정해 시상하는 것으로, ‘나이키 월드컵 캠페인’은 지난해에 칸 국제광고제 옥외광고부문에서도 아시아 최초로 은사자상을 수상해 독창적인 크리에이티브를 인정받은 바 있다. 또한 우리 회사는 ‘제12회 소비자가 뽑은 좋은 광고상’..
2010. 8. 10.
2004/03-04 : 광고제작 현장 - LG투자증권 Wm TV-CM 雨中開花, Wm의 滿開를 위하여!
雨中開花, Wm의 滿開를 위하여! LG투자증권 ‘Wm’ TV-CM 유승민 대리| 기획6팀 adysm@lgad.lg.co.kr 2003년 한국의 금융시장은 IMF 체제 이후 가장 혼란했던 시기였다. 상반기 SK글로벌의 분식회계 관련 채권환매 사태와 이라크전쟁 발발, 하반기 LG카드의 유동성 위기로 인한 매각 사태 및 기업 총수들에 대한 불법대선자금 수사 등으로 1년 내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증권시장만 보더라도 44개 증권사간의 과다 경쟁체제에 따른 만성적인 수익성 악화로 인해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분위기가 시장 전체에 팽배했으며, 증권사 내부적으로도 중개료(Brokerage) 수입에 의지하는 사업구조 탈피를 위한 수익선 다변화가 절실했다. 한 걸음 또 한 걸음, 힘 있고 차분하게 이에 LG투자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