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총 3425 건의 콘텐츠
2010. 8. 12.
2009/01-02 : HS Ad News
김종립 대표이사 취임 김종립 신임 대표이사가 3월 1일부로 우리 회사의 신임 CEO로 취임했다. 김종립 대표이사는 1982년 희성산업(現 HS애드)에 입사한 이래 광고기획팀 국장, 광고기획담당 상무, 광고기획 부문 부사장 및 COO등을 역임했다. 김종립 대표이사는 취임사를 통해 글로벌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직무 순환을 통한 역량 강화로 개개인을 멀티플레이어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스스로의 가치를 창출하고 높이는 실천적인 행동을 임직원에게 당부하였다. 한편 우리 회사는 전임 이승헌 사장 퇴임식을 지난 2월 25일 13층 Playground에서 본부장 및 팀장이 참석한 가운데 가졌다. 전사원 전파교육 전파 교육이 지난 3월 11일과 24일 3차례에 걸쳐 LG트윈타워에서 진행됐다. 우리 회사와..
2010. 8. 12.
2009/01-02 : 디지털 OOH 미디어 _ OOH, 最古의 미디어에서 最新의 미디어로 진화중
Channel _ 기업 홈페이지의 진화 심성욱 | 한양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 swsjah33@empal.com 플로리다대 광고학 박사. 한국언론재단 객원연구위원, 오리콤 브랜드전략연구소 부장을 역임하고 현재 강단에 서고 있다. 인터렉티브 광고 및 옥외광고 연구에 주요 관심을 두고 있다. 현 광고홍보학회 총무이사, 광고학연구 편집위원 광고 미디어로서의 기업 홈페이지 정도경영에 대한 공식적인 견해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정직’으로, 원칙과 기준에 따라 투명하게 일하는 것, 둘째 ‘공정한 대우’로, 모든 거래관계에서 공평하게 기회를 제공하고 공정하게 대우한다는 것, 셋째 ‘실력을 통한 정당한 경쟁’으로, 정정당당하게 경쟁해 이길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그동안 기업의 웹사이트는 기업을..
2010. 8. 12.
2009/01-02 : 창의성과 조직문화 ② Case Study - 반기를 들어도 살아남을 수 있다
Strategy Study _ 창의성과 조직문화 - 2.Case Study 양 윤 |이화여대 심리학전공 교수/ yyang@ewha.ac.kr 성균관대 산업심리학과 및 동 대학원 심리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Kansas State University에서 소비자심리학을 전공,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장을 역임하는 등 소비자광고심리 분야의 연구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반기를 들어도 살아남을 수 있다 21세기에서 생존하기 위한 조건으로 많은 학자들과 기업인들은 ‘창의성’을 언급한다. 국내의 많은 대학교에서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한다고 하고, 기업에서는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현 시대의 흐름이 창의성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너무나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창의..
2010. 8. 12.
2009/01-02 : 창의성과 조직문화 ① 창의성 제고의 원천 - ‘다른 답’은 ‘틀린 답’과 다르다
Strategy Study _ 창의성과 조직문화 _ 1 - 창의성 제고의 원천 이문규 |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 mlee@yonsei.ac.kr 연세대 경영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후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경영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소비자행동론, 브랜드관리론, 마케팅전략, 국제마케팅 등의 관심 분야에서 등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현 서비스마케팅학회 회장. ‘다른 답’은 ‘틀린 답’과 다르다 최근 이외수 씨가 낸 단상집 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글귀가 있다. “천재들은 이따금 '다른 답'을 창출해낸다. 그러나 무식한 채점관들은 ‘다른 답’과 ‘틀린 답’을 구분하지 못한다. 그래서 한 순간에 천재를 둔재로 전락시켜 버린다.” 이는 창의성을..
2010. 8. 12.
2009/01-02 : Global View ③ Global View - Topic으로 보는 글로벌 AD
Global View Topic으로 보는 글로벌 AD 오바마를 통해 배우는 Social Media 활용전략 오바마의 대선 승리에는 미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큰 획을 긋는 전략들도 즐비했다. 그 가운데 광고학자들과 언론계로부터 크게 주목 받고 있는 것은 ‘유권자들의 Social Media의 패턴과 그 의미를 잘 활용했다’는 것. 먼저 웹 2.0 시대에 들어와 처음 맞는 선거답게 유권자들의 블로그·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마이크로 블로그 등을 통해 오바마의 정책과 노선의 차별화를 일관적이고 설득력 있게 전달했다는 점이다. 실제 오바마 선거캠프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매케인 후보보다 많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상의 정치후원금을 많이 모은 바 있다. 또한, 페이스 북, 블로그 포스팅 등과 같은 ..
2010. 8. 12.
2009/01-02 : Global View ② 일본 - 불황기에도 팔리는 요즘의 일본 광고
Global View _ 불황기에도 팔리는 요즘의 일본 광고 서형석 | 게이오(慶應)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소 연구원 / dg995606@gmail.com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일본 상지대학 신문학 전공 석사과정, 게이오(慶應)대학 사회학 전공 박사과정을 거쳐, 도쿄공과대학 미디어학부, 게이오대학 문학부 등에서 강의를 해왔다. 뉴미디어와 광고 효과, 소비자의 정보공유과정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소비자 통찰과 타이밍의 절묘한 조화 전 세계적인 불황의 여파로 많은 소비재 기업은 당초의 매출 및 이익목표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불황기에도 불구하고 당초의 목표를 유지하고 있는 소비재 기업이 있다. 바로 가정용 일용품과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가오(花王)이다. 올해 3월 결산 예정인 2008년..
2010. 8. 12.
2009/01-02 : Global View ① 미국 - 옥외미디어 광고의 현황과 가능성
Global View _ 미국 - 옥외미디어 광고의 현황과 가능성 이태준 | Univerty of Tennessee 박사과정 / davidtaejunlee@gmail.com 중앙대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국내 기업 광고/홍보 분야에서 일하다 유학했다. 미국 텍사스 대학 광고학 석사를 마치고, 현재 테네시 대학(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광고홍보학 박사과정을 이수중이다. 광고주·소비자 눈길 잡는 대안 미디어 광고주들이 전통적인 빌보드 광고 대신 소비자들의 일상적인 생활동선에서 광고효과를 거두는 디지털 옥외광고의 효과를 인정하고 있고, 동시에 하드웨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옥외광고의 중요한 성장요인을 찾을 수 있다. 잠재적 소비자들이 집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