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총 3471 건의 콘텐츠
2011. 2. 14.
2011/01-02 : 세상 낯설게 보기 - 사람들은 묻습니다. “그래서 어쩌라구?”
세상 낯설게 보기 사람들은 묻습니다. “그래서 어쩌라구?” 구글 크롬으로만 실행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는 브라우저도 음악에 맞춰 자유자재로 움직이고 뜨도록 연출돼 음악에 개인적인 감정을 실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좋은 장치가 됩니다. 앞서가는 기술이, 새로운 아이디어가, 감성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미디어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4대 매체는 이제 화제가 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진리… 4대 매체든 인터넷이든 소셜 네트워크든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것. 아무리 미디어가 기발하고 훌륭해도 알맹이가 없다면 사람들의 관심을 유지하기 어렵지요. 뉴미디어의 새로움이 조금씩 익숙해지자 다시 중요해지는 건 콘텐츠입니다. 미디어는 호객 행위를 하는 거라면, 콘텐츠는 품질입니다. 2011년 시작과 함께 세상엔 재..
2011. 2. 14.
2011/01-02 : ENCYCLOPEDIA - 사라지지 않는 맹목적 신드롬, 혈 액 형
ENCYCLOPEDIA 사라지지 않는 맹목적 신드롬, 혈 액 형 (※본 내용은 혈액형에 대한 당신의 성격을 분석하거나 예측하는 것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사람들이 혈액형에서 눈을 돌리지 못하는 이유는 혈액형 유형학이 지니는 사회적 기능 때문이라고도 한다. 혈액형이야말로 가장 쉽고 간단하게 자신이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가까운 친구의 미니홈피나 블로그를 방문했을 때 빠지지 않고 반드시 등장하는 콘텐츠가 하나 있다. 바로 혈액형별로 분류되는 다양한 성격과 그에 따른 행동유형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A형은 섬세하고, B형은 다혈질이며, O형은 활동적이고, AB형은 4차원적 기질이 강하다는 전제하에 동일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각기 다른 반응들을 재미있게 분석하는 ..
2011. 2. 14.
2011/01-02 : 상상력 발전소 - 0`→`1, `1`→`10, `10`→`100
상상력 발전소 0`→`1, `1`→`10, `10`→`100 “개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 줘. 그러니까 그는 나의 신이야.’ 고양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먹여 줘. 그러니까 나는 그의 신이야.’” 창의성 혹은 상상력을 무엇이라고 개념화하거나 정의 내리려고 하지 말자. 그 대신 창의성이나 상상력을 요긴하게 바라는 나의 상황이 무엇인지를 먼저 식별하는 것이 좋겠다. 개념은 아무리 잘 빠져도 실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개념과 정의는 당장은 텅 빈 상자라도 이름을 달아서 여타의 것과 그 상자를 다르게 부를 수 있게 하려는 구실이다. 하여 창의성이다 혹은 상상력이다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부르게 되는 상황을 ‘아는 것’이 먼저다. 상황을 파악해두면 내가 취할 태도나 방법은 알아서 취할 수 ..
2011. 2. 14.
2011/01-02 : SUDDENBIRTH - 始原을 찾아 떠나는 여행,
SUDDENBIRTH 始原을 찾아 떠나는 여행, 다큐멘터리 다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는 ‘리얼 비슷한 리얼’이 아닌 ‘진짜 리얼’이 주는 생생한 감동, 그리고 힘든 현실이지만 현실을 차분하게 고찰하겠다는 대중의 의지에서 출발한다. MBC 과 극장판 SBS 극장판 시청률 22.5%.’ 복수와 불륜이 난무하는 막장 드라마도 아니요, 자극적인 멘트와 몸짓으로 말초적 웃음을 선사하는 예능 프로그램도 아니다. 지난해 MBC에서 방송된 은 20%가 넘는 경이로운(?) 시청률을 기록하며 다큐멘터리의 역사를 새로 썼다. 평균 10%만 넘겨도 대박이라며 어깨에 힘줄 수 있었던 과거와 비교해보면 이는 다큐멘터리사의 일대사건이 아닐 수 없다. 덕분에 ‘명품 다큐’라는 명예까지 얻은 은 TV 미방영분을 덤으로 얹어 영..
2011. 2. 14.
2011/01-02 : The Difference - 문화적 원형과 '차이'
The Difference 문화적 원형과 ‘차이’ 개성적인 것, 과거와 차이가 나는 새로운 표현이나 제품이라고 하는 것들은 바로 남들이 미처 포착하지 못한 특정 제품과 관련된 문화적 코드 혹은 원형을 구현해낸 것이다. 고등학교 때 은사님 한 분은 상식을 벗어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보면 “세상에 인종이 많다 보니” 하며 혀를 끌끌 차시곤 했다. 별의 별 사람이 다 있다는 뜻인데, 맞는 말씀이다. TV 토론 프로그램을 보거나 인터넷 댓글들만 봐도 참으로 다양한 생각과 성격의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욕구나 성정이 있는 것도 사실이어서 ‘다른 것 같아도 사람 다 똑 같아’ 하는 말도 종종 듣는다. 다 다른 것 같아도 희로애락의 감정을 느끼는 ..
2011. 2. 14.
2011/01-02 : 문화적 영감 - 종교 예술의 스토리 라인
문화적 영감 종교 예술의 스토리 라인 종교가 있건 없건 우리는 생각보다 더 많은 종교예술과 일상을 함께한다. 테이크아웃한 아메리카노를 마시며 한적하게 거닐던 조계사에서도, 쇼핑을 하다가 들어간 명동성당에서도 그렇다. 종교가 있건 없건 우리는 생각보다 더 많은 종교예술과 일상을 함께한다. 테이크아웃한 아메리카노를 마시며 한적하게 거닐던 조계사에서도, 쇼핑을 하다가 들어간 명동성당에서도 그렇다. 2세기에 인도의 간다라와 미투라 지역에서 제작되던 불상이 긴 시간과 먼 거리를 돌아 조계사에 놓였으며, 12세기 프랑스 일 드 지방에 등장했던 고딕 양식은 대양과 산맥을 넘어 명동 가장자리에 도달했다. 뿐만 아니다. 퇴근 후 베란다에서 무심코 바라보는 야경 중에서 도드라지는 교회 첨탑과 붉은 십자가도 종교예술 중 하..
2011. 2. 14.
2011/01-02 : STRATEGY STUDY || - 인쇄광고와 디지털의 시너지
STRATEGY STUDY 인쇄광고와 디지털의 시너지 다양한 매체들 중에 인쇄 부문과 온라인 및 SNS 부문의 시너지가 발현될 수 있는 케이스들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광고 목표 달성의 차원에서 필요할 것이다.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대되어 일 년 전만 하더라도 이 단어를 생소하게 느끼던 일반인들조차 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 등을 대표적인 SNS들로 알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 2010년 전반기에 폭발적인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그 기폭제 역할을 했으며, 후반기에는 페이스북의 급격한 대중화가 SNS의 성장에 기여했다. ATL이라 부르는 기존 매체의 영역에 있는 인쇄광고와 BTL로 분류해 온 온라인 및 SNS 등과의 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
2011. 2. 11.
2011/01-02 : 너는 어떻게 카피가 됐니? - 중구난방 라디오 카피 수칙 2
너는 어떻게 카피가 됐니? 중구난방 라디오 카피 수칙 2 예나 지금이나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어떻게 하면 카피라이터가 돼요?”다. 카피는 실무를 하면서 카피로 크는 거란 말을 수도 없이 하지만, 그래도 뭔가 방법이 따로 있지 않을까 계속 묻는다. 어떻게 하든 들어만 간다면 카피로 크는 길에 들어선다. 어떻게 클까? 여기 어리바리한 여자 카피라이터가 광고회사에 신입으로 들어가, 지금은 남아있지 않은 전설의 카피라이터 신입교육을 받으며 커가는 과정을 소소하게 풀어본다. “아무리 크리에이티브하게 써주면 뭐하나. 시안 몇 번 들어갔다가 나오면 TV나 인쇄광고 베리에이션으로 결정돼지.” 둘이 앉아 날밤을 까던 날 이틀째 새벽이었을 거다. 사수가 자리에서 궁시렁 궁시렁. “섭섭아~ 통닭 먹자” ‘오잉? 이거..
2011. 2. 11.
2011/01-02 : 色다른 크리에이티브 - 영감을 축적하는 노하우
色다른 크리에이티브 영감을 축적하는 노하우 여행하기·영화보기와 같은 일반적인(?) 노력으로 ‘신묘한’ 영감이 축적될 것 같지는 않다. 나만의 디자인 방법이 ‘영감’이라는 단어로 설명되려면 내가 축적한 영감이 남들과 달라야 한다. 영감을 축적하는 나만의 특별한 방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자신만의 방법으로 무언가를 한다, 디자이너도 끊임없이 요구되는 크리에이티브의 압박 속에 살고 있는 디자이너라면 한 번쯤 디자인 작품집이나 잡지에 등장하는 훌륭한 작품을 보면서 감탄과 더불어 “더 이상 색다른 크리에이티브라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에 허탈감을 느껴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나도 좀 더 일찍 태어났더라면 저런 거 할 수 있었을 거야”라는 푸념도 해봤을 것이다. 혹자는 “모더니즘 이후 2011년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