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 총 1137 건의 콘텐츠
2010. 8. 10.
2003/07-08 : 광고의 과학화 - 현장리뷰와 개선점
광고주·광고회사·매체사의 의식변혁부터 앞서야 광고의 과학화 - 3. 현장리뷰와 개선점 양 영 종 | 한양사이버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yyj5302@yahoo.co.kr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광고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사실 광고는 살아 있는 생물과 같은 것이어서, 그것이 무엇이라고 딱히 정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주 독창적인 생물이므로 마치 사람처럼 웃기기도 하고, 감정을 자극하기도 하며, 좋아하는 광고의 제품을 더 좋아하게 만드니까 말이다. 이 부분만 보면 어쩌면 광고는 ‘감성의 생물’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소비자가 어떠한 행동을 하고, 어떠한 성향을 가졌으며, 어떠한 구매 과정을 거치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치밀한 조사를 통해서 광고의 전략을 추출..
2010. 8. 10.
2003/07-08 : 광고의 과학화 - 시청률 조사 검증
검증 수준 높이며 새 측정방식에 주목해야 광고의 과학화 - 2. 시청률 조사 검증 조 성 호 |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suhcho@knu.ac.kr 우리나라에서 피플미터(people meter)식 시청률 조사가 실시된 지 만 12년이 지나고 있다. 피플미터식 시청률 조사 자료는 예전에 간헐적으로 수집되었던 일기식이나 전화식 조사 자료와는, 달리 방송사간 최대 다수의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한 편성 경쟁이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광고집행을 위한 매체기획에 매우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일반 시청자는 물론 심지어 정치인들이나 관료조차도 특정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시청되었는지에 관심을 기울일 만큼 시청률 조사를 둘러싼 시대 환경도 달라졌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초기 자료 이용자들..
2010. 8. 10.
2003/07-08 : 광고의 과학화 - ABC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ABC 효과 알리는 광고주·광고회사의 노력과 요구 있어야 광고의 과학화 - 1. ABC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김 상 영 대리 | 인쇄미디어팀 sykima@lgad.lg.co.kr “그건 광고의 ABC야, 마케팅의 ABC도 모르는군.” 우리가 종종 쓰는 이런 말에서 알 수 있듯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것’을 흔히들 ‘ABC’라고 부르곤 한다. 그런데 광고시장에서 말하는 인쇄매체의 ABC는 바로 신문·잡지의 발행부수로부터 시작한다. 인쇄매체의 발행부수와 판매부수는 개별 매체의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이자 적확한 매체 선정 및 사전 효과분석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케이블방송과 디지털방송 등 뉴미디어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아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
2010. 8. 10.
2003/07-08 : Special Edition -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 광고리뷰 : 오브제화한 몸 vs. 상품화한 몸
욕망과 접선할 것인가, 감정과 해후할 것인가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3 - 광고리뷰: 오브제화한 몸 vs. 상품화한 몸 조 동 완 CD | CR1그룹 dwjo@lgad.lg.co.kr 시작하며… 미켈란젤로가 그린 는 시스티나 예배당의 천정화 중 아담의 탄생을 표현한 것이다. 최초의 인간 아담은 누워 있으며, 반대편에서 하나님이 천사들과 함께 나타나 손을 뻗치자 아담의 손가락에 채 닿기도 전에 이 최초의 사람은 깊은 잠에서 막 깨어난 듯 그의 창조주인 하나님의 자애로운 얼굴을 쳐다보고 있는 장면이다. 성경 창세기 1장 27절에는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라는 구절이 있다. 정말 우리의 몸이 하나님의 모습대로 만들어졌다면 우리의 몸은 이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2010. 8. 10.
2003/07-08 : Special Edition -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 진단 : 전통 속의 몸 vs. 현대의 몸
몸은 어떻게 자본적·사회적 가치로 변해왔나?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2 - 진단: 전통 속의 몸 vs. 현대의 몸 김 완 석 |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wsgim@ajou.ac.kr 몸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몸의 의미 지각, 즉 ‘신체개념’은 자신과 타인의 몸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과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의 모든 행동은 몸과 관련이 있다. 먹고 자고 입고 사랑하고 태어나고 죽는 모든 것이 몸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몸의 의미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인간과 신의 관계, 신체와 정신의 관계, 신체의 기원, 여성과 남성의 차이 등에 관한 종교적·이념적·철학적 가정들, 그리고 사회 지배계급의 지배윤리 등에 따라 서로 달라졌다. 이에 따라 어떤 몸이 건강한 몸인가, 몸은 의지에 따라 변형(성형..
2010. 8. 10.
2003/07-08 : Special Edition -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 현상 : 몸을 위한 열망들
몸은 소비능력의 차이를 보여주는 기호? 몸을 말하다 vs. 몸으로 말하다 1 - 현상: 몸을 위한 열망들 박 은 아 | 광운대 디지털경영연구소 연구교수 eunapark@hotmail.com 올 여름 우리의 눈을 끄는 새로운 자극이 있다면 그것은 단연 거리를 지나는 여성들의 몸에 새겨진 문신(tattoo)이다. 흔히 우리는 문신이라 하면 일부 특수 계층의 사람들이 자신의 신분을 알리는 수단으로,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 위협감을 주려는 일종의 기호(sign)로 가슴이나 등에 새겨 보임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과시하려는 것을 떠올린다. 그러나 요즘 흔히 만나는 젊은 여성들의 몸에 새겨진 문신은 억센 남자들의 팔뚝에 새겨졌던 그 문신과는 전혀 다른 기의를 담고 있다. 그녀들의 팔이나 어깨에 새겨진 문신에는 ‘즐기는 ..
2010. 8. 10.
2003/07-08 : Marketing Guide - 향후 인터넷 사이트의 경쟁우위 요소
‘이야기’가 있는 나무 되어 ‘재미’라는 열매 주어야 이 준 호 연구원 | 브랜드전략연구소 iamnavi@lgad.lg.co.kr 향후 인터넷 사이트의 경쟁우위 요소 김 연 진 대리 | 마케팅3팀 yjkimb@lgad.lg.co.kr 변화하는 인터넷 - 사이트 집중화 현상 수없이 많은 사이트가 존재해도 현재 네티즌들은 소수의 몇몇 사이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AOL은 전체 네티즌 인터넷 이용시간의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전체 사이트 체류시간의 70%가 상위 10개의 사이트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이렇게 네티즌의 인터넷 이용이 몇몇 사이트에 집중되는 현상으로 인해, 빈익빈 부익부의 경제원리처럼 일단 대박을 터뜨린 사이트는 점점 더 거대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2010. 8. 10.
2003/07-08 : Culture Club - 추(醜)의 반란
미와 추, 선과 악… 그 이분법적 틀의 유효기간이 끝나다 추(醜)의 반란 양 성 희 | 문화일보 문화부 기자 cooly@munhwa.co.kr 요즘 TV에서는 예전 같으면 도저히 스타덤에 올랐을 것 같지 않은 ‘안 생긴 개성파’ 연예인들이 눈에 띄게 많다. MBC 드라마 로 주목받은 양동근, 영화 의 개성파 류승범, 가수 겸 배우로 팔방미인의 재능을 펼쳐보이는 임창정 등이 대표적이다. 여자 연예인으로는 공효진·배두나를 꼽을 수 있는데, 두 사람은 절대 못생긴 외모는 아니지만 그간 젊은 여성 연예인에게 요구되었던 인형 같은 공주풍 외모와는 거리감이 있다. 코미디언쪽으로 가면 아예 ‘안 생긴’ 외모를 트레이드 마크로 삼은 이들도 많지만 그것은 코미디라는 장르적 특수성 때문이라 치고(이름도 우스운 웃기게 생긴..
2010. 8. 10.
2003/07-08 : Case Study - A Diamond is Forever
A Diamond is Forever 드비어스(De Beers) 김 원 규 그룹장 | CR1그룹 wkkim@lgad.lg.co.kr 절대 권력의 누수, 그러나 영원한 드비어스를 꿈꾸다 ‘드비어스(De Beers)’는 다이아몬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드비어스는 1888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을 때는 다이아몬드 시장의 90%까지 장악하기도 했다. 그 누구도 이 아성에 도전할 엄두를 내지 못했고, 조금이라도 그런 조짐이 보이면 ‘이 다이아몬드의 제왕’은 가차없는(?) 무차별 공격을 퍼부으며 시장에서 다이아몬드 왕국의 명예를 지켜왔다. 어쩌면 드비어스의 이런 마케팅 전략은 영국의 식민지 정책에서 그 모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드비어스란 원래 원주민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