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9-10 : Culture Club -‘그 날 그 사건’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Culture Club - ‘그 날 그 사건’
 
  그들은 왜 바지를 벗었는가?  
정 성 욱 대리 | 영상사업팀
swchung@lgad.lg.co.kr
7월 30일 토요일, MBC의 <생방송 음악캠프>. 무대에 오른 출연자는 럭스라는 펑크밴드. 인디음악을 대중에게 소개해 준다는 취지로 마련된 한 코너에 초대된 럭스는 자신뿐 아니라 자신이 속해 있는 스컹크라는 펑크 전문 인디레이블 소속의 식구들(동료 뮤지션들과 몇몇 골수팬들)과 함께 무대에 올라 전국의 시청자들에게 펑크라는 장르에 걸맞은 신나는 난장을 선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장면은 사실 ‘옵빠들’을 향해 풍선을 흔들기 위해 방청석을 찾은 10대 팬들에겐 낯선 것이었으리라.
신나는 무대와 냉담한 객석간의 정서적 간극이 점점 벌어져 정점으로 치닫는 간주의 순간, 사건은 벌어졌다. 스컹크 레이블 소속의 밴드인 카우치의 두 명의 남자 멤버가 무대 앞으로 나왔다. 둘 다 얼굴에는 광대 수준의 분장을 하고 있었고, 한 명은 ‘추리닝’ 하의, 한 명은 속칭 ‘스즈키복’이라 불리는 항공정비사용 점프수트를 입고 있었다. 무대를 부유하듯 훑고 지나가는 크레인 캠에서 무대를 향한 메인 카메라로 바뀌는 바로 그 순간, 두 명의 멤버는 옷을 벗기 시작했고, 메인 카메라에 잡힌 것은 벌거숭이 남자 두 명이 음악에 맞춰 겅중겅중 뛰고 있는 모습이었다. 카메라가 재빨리 오른쪽으로 팬하려 했으나, 당황스럽게도 촬영 리허설에서 이미 정해진 대로 같은 앵글을 좀더 와이드하게 잡고 있던 다음 카메라로 전환되어 버렸다. 촬영기사는 재빨리 카메라의 시선을 위쪽으로 옮겼다가 다시 연주중인 럭스 멤버 쪽으로 이동하는 식으로 수습하려 했으나, 껑충거리며 무리 속으로 사라지는 카우치 멤버 신모 군의 엉덩이가 다시 한번 화면에 잡혔다. 리허설대로였는지, 아니면 무대를 비추는 것은 위험하다고 판단한 임기응변이었는지 확실치 않지만, 장면은 객석을 비추는 크레인 캠으로 전환되었고, 거기에는 눈앞에 펼쳐진 믿을 수 없는 광경에 눈과 입을 가린 어린 소녀들의 모습이 잡힌다.

‘난리가 났다’

국내 초유, 아니 세계 초유의 공중파 성기노출이라는 사건은 이렇게 발생했다. 생방송의 해프닝이라고 웃어 넘기고 싶어도 우리나라뿐 아니라 웬만한 나라에서는 발생해서는 안 되는 상당히 심각한 사건임에는 틀림없었던 것 같다. 오죽했겠는가? 웬만한 음담패설에도 눈 하나 끔쩍이지 않던 ‘어른’들의 반응도 정말 서슬 퍼런 것이었다. 행정관리자들은 마구 분개하면서 홍대 앞 공연장의 상습 음란공연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을 명했고, 대부분 언론사들도 홍대 근처를 ‘향락과 변태의 소굴’로 채색해가면서 인디밴드들을 싸잡아 매도하는 여론몰이를 주도한다. 그렇다.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가지는 공포는 언론사들의 주력상품이지 않은가? 결국 많은 인디밴드들은 그나마 생계로 삼고 있던 예정된 출연을 취소당하기도 하고, ‘너는 옷 안 벗니?’라는 고향 부모님의 걱정 어린 전화를 받기도 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겁에 질린 ‘어른들’의 ‘도대체 왜?’라는 질문에 대해 온갖 억측과 시나리오들이 제기되었다. 공연 전 마약 복용설, ‘도청’ 스캔들 무마용 모 기업 사주설, 음란 스캔들 무마용 모 음반사 사주설, 특정 방송사 음해세력에 의한 계획적인 방송 사보타지 설 등의 음모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정작 밝혀진 내용은 4인조가 ‘주유소 습격사건’을 벌인 이유와 별로 다를 바가 없는 시시한 것이었다.




 
그냥. 재미있을 것 같아서’
마치 변변한 장난감이 없는 어린아이가 손님에게 고추를 자랑하는 것과 별로 다르지 않은 이유. 차라리 ‘북파공작원 생계보장’이나 ‘이라크 파병 반대’라는 미니 현수막이라도 걸고 하는 누드 퍼포먼스라면 모르겠는데, ‘그냥 재미있을 것 같아서’ 벗었다니, 자기방식대로의 이해와 설명을 소통의 종착점으로 생각하는 기성세대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을 테다. 국과수까지 동원한 철저한 약물조사는, 그 안타까움에서 기인한 처절한 노력이었을 것이다. 해당 방송의 폐지, 담당 방송인들의 억울한 징계, 음악인들의 생계 위협, 탄압의 빌미제공 등의 엄청난 파장(이라고 쓰고, ‘민폐’라고 읽음)을 가져온 이 사건이 결국은 가벼운 몰상식 혹은 이(異)상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허탈함에서 우리는 시대를 관통하는 정서의 한 단면을 본다. 그 정서는 ‘무질서 역시 질서’라고 말하는 것이 ‘궤변’이 아닌 ‘관념의 확장’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시대의 산물이다. 설명과 논리가 아닌 충동성과 즉각성을 내포하고 있는 ‘이미지’가 행동을 좌우하는 지침이 되는 이런 시대는 자본주의가 촉발시키고 가속시켜온 소비문화의 필연이라는 주장은 이제는 더 이상 새롭지도, 낯설지도 않다.
그렇게 문화사에 대한 가설을 증명한 채 시간은 다시 흐르고 있다. 럭스가 공연하던 홍대 앞의 스컹크헬은 여전히 펑크를 좋아하는 사람들로 붐비고, 럭스 역시 자신들의 무대에 복귀해 신나게 펑크대로를 질주 중이며, 9월에는 MBC의 음악프로그램도 부활할 것이다. 앞으로 몇 년 동안 써먹을 수 있는 농담의 소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사회에 어느 정도 ‘순기능’을 제공한 이 ‘성기노출’ 사건도 이렇게 서서히 사람들의 기억 속으로 사라져가고 있다. 벗은 당사자들에게는 정말 창피하고 끔찍한 기억으로 남을 수도 있지만, 지켜보던 우리들에게는 아마도 가끔 꺼내보면서 낄낄댈 수 있는 ‘음주 후 찍은 망가진 사진’ 정도의 기억으로 남게 될 것이다. 사건이 일어나던 당시 럭스가 부르고 있던 노래의 가사 내용이 그런 문제에 대한 대범한 시각을 담고 있었던 것은, 역사가 던지는 아이러니와 필연은 결국 매한가지라는 이야기 아닌가?

어차피 변한 건 없어… 그 누구도 상관 않겠지
그래도 나 여기서 멈출 순 없어. 다시 또 나의 길을 걸어가겠어
여기 이렇게 우리 함께 하는데… 여기 이렇게 같이 걸어 왔는데
언제든지 돌아갈 순 있다 하지만 난 절대 변치 않겠어
* 난 이렇게 이 땅에 선 채 또 다른 오늘과 싸워 이기겠어. 지치지 않아
우린 지금도 이렇게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니까. 우리 이렇게..

- 럭스 <지금부터 끝까지> 중에서

Posted by HS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