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08 : Culture&Issue - 미국의 수퍼히어로 만화에 대한 고찰(마지막 이야기)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Culture&Issue -미국의 수퍼히어로 만화에 대한 고찰
(마지막 이야기)
 
  시대의 아티스트,
안티히어로를 말하다!
 
정 성 욱 | 영상사업팀 대리
swchung@lgad.co.kr



만화의 청동시대(Bronze Age of Comics, 1970~1980년대)

황금시대와 은시대 만화의 성격이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오락물에 가까웠다면, 그 이후의 만화는 특정 계층에 어필하는 ‘열렬애호가(Aficionado)를 위한 감상물’의 형태로 진화하게 된다. 스토리는 좀더 어두워지고 은시대부터 제시되어왔던 주인공의 어두운 면에 대한 탐구는 더욱 심화되어 60~70년대 할리우드 영화가 보여주기 시작했던 ‘안티히어로’상(像)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연결된다. 권선징악이나 지구 수호, 인류 구원 같은 일종의 도덕률과 이념으로 캐릭터의 선호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모·스타일·태도 같이 탐미적인 요소가 한 캐릭터의 가치나 인기의 척도가 되었다.
이 시대에 집중적으로 조명되던 안티히어로의 예로는 마블 사의 X-men 프랜차이즈의 ‘울버린(Wolverine)’을 들 수 있다. 1974년 ‘헐크’와 대립하는 캐릭터로 처음 선보인 울버린은 다음 해 X-men의 새 시리즈에 전격 합류하면서 팬들로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낸다. 악을 물리치기 위해서는 폭력, 심지어는 살생마저 서슴지 않는 강한 추진력, 비밀에 쌓인 음험한 과거, 냉정을 넘어 불친절과 무례를 넘나드는 불량한 태도 등, 울버린은 청동시대에 등장할 여러 ‘안티히어로형 캐릭터’들의 전형을 제시했다.
청동시대에 주목할만한 또 한 가지 사건은 은시대를 규정하고 있던 미국 만화출판업계의 자체심의규정인 ‘코믹스 코드’의 변화였다. 1971년 미국 정부기관인 교육보건복지부는 청소년들에게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위해 <스파이더맨>의 작가인 마블 코믹스의 스탠 리(Stan Lee)에게 마약의 해악에 대한 만화를 제작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스탠 리는 마약의 위험성을 소재로 한 3편짜리 <스파이더맨> 특집을 만든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1950년대에 나온 코믹스 코드에 의하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마약에 대해 다루는 것은 무조건 금지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자체 심의기구인 CCA는 원리원칙에 따라 ‘인증’을 거부했는데, 이에 마블 코믹스는 CCA를 완전히 무시하고 ‘인증마크’ 없이 책을 출판하는 강수를 두었다. 이렇듯 출판사와 심의기구의 일종의 자존심 싸움이라고도 볼 수 있는 이 사건의 결과는 출판사 쪽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다.
코믹스 코드는 ‘업계 자체 규제’이고, 따라서 도매상의 판매 거부 등 유통상의 불이익은 있어도 출판금지 같은 심각한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지는 못했는데, 정부 기관의 의뢰로 만들어진 인기만화를 법적 구속력이 없는 심의기구 인증마크가 안 붙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판매거부를 할 만큼 간이 큰 도매업자는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CCA의 융통성 없는 결정은 많은 비판의 포화를 맞게 되고, 마침내 71년 ‘부정적인 요소로 등장한다는 조건에 한해 만화 안에서 마약이 쓰일 수도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개정안이 마련되었다. 결국 이 사건은 규정의 개정 그 자체보다는 CCA의 권위에 대해 커다란 의문점을 제기한 최초의 사건이며, 후일 CCA의 권위가 유명무실화되는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있다.

만화의 근대시대(Modern Age of Comics, 1980년대 중반~현재)



80년대 중반의 급격한 진화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시대의 흐름에 대해서는 분명한 명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혹자는 청동시대에서 이어지기 때문에 ‘철시대(Iron Age)’라 불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혹자는 작품의 색채와 판매부수의 급감, 전반적인 업계의 쇠퇴를 근거로 ‘암흑시대(Dark Age)’라고 부를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또 혹자는 양적인 축소의 이면에서 드러나는 각종 매체로의 확산과 전반적인 수준 향상 같은 눈부신 질적 발전을 근거로 ‘금강기(Diamond Age)’라는 휘황한 명칭을 붙이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그러나 역사의 규정은 후대의 몫이기에, 현재는 단지 ‘근대 혹은 현대(Modern)’라는 표현이 가장 무난하게 쓰이고 있다.
이 시대는 독자들과 제작진들의 높아진 수준을 보여준다. 40년의 세월을 거치면서 만화는 그림이나 스토리 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고, 그에 따라 독자들의 기대치 역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갔다. 더불어 주변 여건도 더욱 좋아졌다.
<젠틀맨리그(The League Of Extraordinary Gentlemen)>와 <와치맨>의 앨런 무어나 <샌드맨>의 닐 게이민 같은 스타급 스토리 작가들, 느와르풍의 선 굵은 터치로 유명한 <신시티>의 프랭크 밀러, 노만 락웰의 화풍을 연상시키는 극사실주의 만화가 알렉스 로스, 살인적인 디테일을 자랑하는 제프 대로우 등의 만화가들의 등장, 그리고 신비한 포토콜라주로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 데이브 매킨, 정통파 구상화가인 켄트 윌리엄스, 펄프계에서 명성이 자자한 그렉 루카, 브래드 멜처 같은 소설가 등,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화의 매력을 깨닫고 그들의 능력을 더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듯 높아진 인적 파워는 독자들의 수준에 부응하는 것을 한 단계 뛰어넘어 장르 전체의 수준을 완전히 개혁해버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전 시대가 만들어 놓은 안티히어로의 전형을 확산시킨 프랭크 밀러의 <배트맨: 암흑기사의 귀환>과 앨런 무어의 <와치맨>은 이러한 비옥한 토양에서 탄생된 걸작으로 꼽힌다. 현대 만화의 전범(典範)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한 이 작품들은 수퍼히어로 장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의식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동시대의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쿨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수작들인 것이다.
그리고 만화의 이러한 질적 발전은 만화의 소재가 다른 장르로 뻗어나가게 되는 계기가 된다.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수퍼히어로물의 극장영화화, TV만화 시리즈, 그리고 웹툰이나 플래시 애니메이션 등 새로운 미디어로의 확장은 양적인 축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성장해가는 미국만화의 저력이 느껴지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Posted by HS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