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1-02 : Creator's Eye - Cannes 유감·공감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Creator's Eye_ Cannes 유감·공감
  아시아 크리에이티브의 약진  
이 동 욱 | 크리에이티브 부문 CD
ehddnr1965@lgad.co.kr
 

Cannes 유감

벌써 꽤 된 얘기지만, Cannes라는 곳에 가본 적이 있습니다. 참 멀더군요. 가보니 영어도 어려운 제게 프랑스 어는 정말 ‘외국어’ 그 자체였습니다. 온갖 사람들이 많았지만 말을 붙여 보고픈 사람도 없었고, 마음 놓고 돌아다닐 만큼 지리를 잘 알지도 못했습니다. 그리고 참 덥더군요.
무척이나 가보고 싶은 곳이었는데, 그곳에서 저는 철저한 이방인이 된 느낌이었습니다. 나만 그런가 싶어 주위를 보았지만, 함께 간 다른 사람들도 왠지 그래 보였습니다. 그리고 시사회장이나 전시장에서 마주치는 다른 아시아 사람들도 왠지 그랬습니다. Cannes는 그렇게 참 먼 곳으로 느껴졌었습니다.
아시아에서 Cannes의 ‘라이온’을 가져오는 경우는 많지 않았습니다. 일본이 좀 가져왔었고, 기껏 싱가포르나 홍콩 등 외국인들이 많은 곳에서 가져오는 정도였죠. 그래서 약간은 뒤틀린 심사에 백인들의 유색 인종 차별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믿을 수는 없었던 것은, 이미 10년 전쯤부터는 브라질·아르헨티나 등의 남미 국가에서도 라이온을 심심찮게 가져갔기 때문입니다.

Creative 공감

지난해 Cannes 국제광고제에서도 여전히 유럽계가 많은 상을 가져갔습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고개를 디밀기 시작한 아시아 국가들도 상을 여럿 가져갔습니다. 일본도 있었고, 싱가포르·필리핀도 있었지만, 역시 대단했던 건 태국이었습니다. 태국은 지난해 우리나라 광고들이 Cannes의 쇼트리스트 선정에도 못 올라가는 동안, 특유의 유머가 돋보이는 광고로 어느새 세계 크리에이티브의 일각을 차지해 버렸습니다. 솔직히 배 아팠습니다. 그래서 뭔가 깎아 내릴 구석이 있지 않을까 싶어 다시 봤지만, 결과는 “잘 만들었다” 였습니다. 공감이 생명인 크리에이티브의 세계에서 태국은 어느새 강자가 되어 있었습니다. 막연하게, ‘못사는 나라’로 생각했던 태국이 아시아 크리에이티브의 대표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은 또 다른 궁금증을 일으켰습니다. “우리랑 뭐가 다르기에?”





 

알이 먼저인가, 닭이 먼저인가?

태국의 광고제작 시스템은 영국식 시스템을 그대로 따른다고 들었습니다. 누군가는 미국식 시스템이라고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의 시스템이 이미 광고 선진국의 그것과 같다는 점이겠죠. 프로덕션만 해도 우리와는 다르답니다. 대규모 기업형으로 프로듀싱 단계부터 포스트와 스튜디오·모델 에이전시, 심지어 방송국까지 계열화된 곳도 있다고 합니다. 그곳엔 당연히 최신 설비와 장비들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게다가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사회적으로 1% 내에 들만큼 고학력·고소득자들이라고 합니다. 물론 영어도 자유롭게 구사하겠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젊은 인재들이 서로 앞 다퉈 뛰어들려고 하다 보니, 이제 아시아를 대표하는 CF 감독들은 태국 감독들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미국까지 시장을 넓혀 더 큰 세계에서 활동한다고 합니다.
태국의 장점이 커지다 보니 웡카와이(王家衛) 감독이 <화양연화>의 후반작업을 태국에서 했고, 그것이 알려지다 보니 조지 루카스도 <스타워즈(시즈의 복수)>의 후반작업을 태국에서 하기로 결정했었고, 그로 인해 루카스로 대표되는 미국식 시스템과 장비들이 더해져 태국은 더욱 더 발전하게 됐다고 합니다. 우리만 해도 한때 호주로 몰리던 추세가 이젠 태국으로도 옮겨져서 촬영과 NTC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태국의 광고계가 인력이 좋아서 발전한 것인지, 보수와 사회적 지위가 좋아서 인재들이 몰리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늘 ‘되는 집’은 선순환이고, ‘안 되는 집’은 악순환이니까요.

국경을 허물어야 비즈니스가 보인다

그렇다고 우리나라만 뒤져 있는 것도 아닙니다. 국내의 CF 감독들도 이젠 해외로 꽤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지난해 만난 한 감독은 미국에 가서 미국 현지에 방영될 CF를 찍는다고 했습니다. 어떤 감독은 해외에서 만든 콘티로 해외에 나가 해외 스태프를 활용해 촬영하고, 해외 포스트프로덕션에서 후반 작업을 한 후, 시사까지 마치고 국내에 들어온다고 합니다. 한류의 영향도 도움이 됐겠지만, 중국의 경우는 이미 비용 대비 효율성이 너무 떨어지는 유럽의 유명 CF 감독들보다 한국의 CF 감독들에게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이 인기인 데다 정서도 잘 맞으니까요. 중국의 임금수준이 떨어진다고는 하지만, 광고업계는 예외이니 만큼 외화벌이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개인에게나 국가에게나 참 좋은 일입니다.

당신도 약진할 준비가 됐습니까?

예전 Cannes에 갔을 때 들었던 쇼킹한 얘기가 떠오릅니다. 남미의 크리에이터들이 해준 얘기였는데, 그쪽 동네에서는 크리에이터의 위상이 어찌나 높은지, 광고회사의 위상이 어찌나 높은지, 해마다 연말이 되면 광고주들이 선물 보따리를 들고 광고회사를 찾아온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제발 우리 회사를 자르지 말고 계속해서 광고를 만들어 주세요.” 그들은 광고주가 광고회사 눈치를 보는 걸 당연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내 특별히 너희를 어여삐 여겨 광고 하나 만들어주지” 하는 입장이라니, 어찌나 부럽던지 입이 딱 벌어졌죠.

국내 모 광고회사에서 ‘연봉 30억짜리’ CD를 초빙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모두들 신기해했고, 부러워했고, “어디 얼마나 잘하나 보자” 하면서 폄훼할 준비(?)들도 했습니다. 과연 그 CD가 연봉 값어치를 했느냐에 대해서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보다는 우리에게도 그럴 날들이 올 수 있다는 걸 말하고 싶습니다. CF 감독들이 나갈 수 있다면 CD들도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CD가 나갈 수 있다면 아트도, 카피도, AE도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느 날, 외국의 어느 회사에서 그런 사람이 필요하게 될 때, 당신에게 제안하게 될지 묻고 싶습니다. 그 제안에 당당히 나갈 준비가 되어있나 묻고 싶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한국에서 온 광고장이, 연봉 값은 하나?”하는 그 나라 사람들의 시선에 당당할 수 있을지 묻고 싶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묻고 있는 저는 어떻냐구요? 저는 물론…… 한국을 사랑합니다. 아주 많이...^^;


Posted by HS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