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1-02 : 뉴미디어, 다매체·다채널 환경 - 방송·통신의 융합, 매체간 영역 붕괴, 그 현상과 의미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HSAD 공식 블로그 HSADzine

방송·통신의 융합, 매체간 영역 붕괴, 그 현상과 의미  
 
 뉴미디어, 다매체·다채널환경 - 1
 
 
정 윤 경 |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yoon@kbi.re.kr
 
1995년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는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라는 책의 서두에서 “비트(bit)란 지능의 발생지이며, 성장을 위한 면허증”이라고 소개했다. 무게도 없고, 세관 통과의 의무도 없는 비트는 인간의 능력을 확장시키고, 우리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며, 디지털화를 통해 미디어 환경을 송두리째 변화시킬 힘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네그로폰테의 예견대로 최근의 디지털화는 방송과 통신을 융합시킴으로써 미디어 환경을 급속하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지적도와 법, 제도적 틀, 수용자 문화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003년에도 물론 디지털은 여전히 변화를 주도할 것이며, 정치·경제·문화 전반에서 우리의 관심을 유인하는 주체가 될 것이다.
아날로그 매체는 하나의 전달 수단에 한 가지 표현 요소만을 실을 수 있는 태생적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아날로그 세계에서 우리는 활자라는 표현 수단을 종이에 전달하는 신문과, 소리라는 표현 수단을 전파에 실어 전달하는 라디오, 영상이라는 표현 수단을 전파에 실어 나르는 방송 등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의존해 살아왔다. 즉 신문을 읽고, 전화로 이야기하며, 방송을 보는 정형화된 행위는 디지털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진리’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은 문자·소리·영상을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동시에 싣는 기술적 진보를 가져왔으며, 이전까지 믿어왔던 ‘진리’란 단지 기술적 한계에 따른 결과에 불과한 것임을 깨우쳐 주고 있다. 디지털 세계에서 우리는 전화를 ‘보며’, 방송을 ‘읽고’, 신문을 ‘듣는’ 이상한 행위를 실현해가고 있다. 얼마 전까지도 절대 이해되지 않는 광고 속의 현실로만 그려지던 이러한 행위, 점차 주변의 일상에서 목격되는 이 같은 행위는 더 이상 디지털 편집증자의 환상으로 치부되지는 않게 된 것이다.
 
형식·내용·질적 수준까지 변화
디지털 기술의 진보는 별개의 기술적 기반과 서비스 영역으로 서로 차별되던 방송과 정보통신 분야를 융합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방송은 한정된 전파 자원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의 수용자에게 일방향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주체로 개념지어져 왔다. 또한 방송이 이용하고 있는 전파가 국민의 소유라는 점과, 막대한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지녔다는 특성 때문에 여러 가지 의무가 강제될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규제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방송 산업에 대한 이러한 진입 및 소유 규제는 국민이 다양한 언로를 확보하고 자신의 의견을 공론화할 권리를 보장 받기 위한 장치이며, 또한 내용 및 편성 규제는 전파의 소유주인 국민이 원하는 내용, 공익에 부합되는 내용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배려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통신은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정보 교환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방향적인 정보 분배를 특징으로 하는 방송과는 기본 개념부터 다른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통신의 경우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쌍방향적인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용자의 직접적인 요금 지불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특정인 사이의 사적 정보 교환 수단인 통신에 대해서 정보의 외부 공개 의무를 부과하지 않으며, 내용 규제 역시 강제할 수 없다. 단지 모든 사회의 구성원들이 통신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의 질을 확보하고 적정 요금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규제를 가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별개의 영역에 존재하던 방송과 통신의 경계는 ‘0’과 ‘1’의 조합으로 문자·소리·영상 등 모든 정보를 표현하는 디지털로 인해 와해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방송과 통신의 영역 붕괴는 두 가지 차원에서 표면화되고 있다. 첫째, 매체의 외면적인 형식 파괴를 들 수 있다. 즉 어떤 단말기를 통해 내용을 서비스 받았는가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이 서비스 내용을 결정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통신을 통해 방송 내용을 서비스 받을 수 있으며, 방송을 통해 통신에 접속하는 일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미 종이 신문의 온라인 서비스, 방송의 인터넷 서비스, 전화의 화상 서비스 등 여러 매체를 넘나드는 서비스가 보편화되었고, 일상에서 체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신문은 방송보다 내용의 깊이·기록성·보관성 면에서 우수하고, 방송은 신문보다 속보성·현장성에서 장점을 지닌다는 식의 구분은 의미를 잃고 있다. 매체에 따라 특징을 구분해내는 작업은 구태의연한 아날로그식 잔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두 번째, 방송과 통신 영역의 붕괴 현상은 서비스 내용과 질적인 변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제까지 가능하지 않았던 경계 영역의 서비스가 등장하고, 쌍방향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다. ‘바보 상자’라는 오명 속에 20세기를 보냈던 텔레비전은 이제 ‘똘똘한 텔레비전’으로 재탄생하기 위해 다채널·데이터 서비스에 도전하고 있다. 또한 위성방송의 PPV 서비스는 영화관에 갈 소비자를 유인하고 있으며, 휴대전화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방송과 컴퓨터에 몰입했던 청소년을 흡수해가고 있다. 이와 함께 압축 기술의 발전과 채널 용량 증가는 이제까지 방송을 공적 영역에 머물게 했던 전파의 희소성을 해결하고, 일일이 열거하기도 어려운 수백 개의 채널들을 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용자들의 매체 지출 비용은 증가하고 있으며, 매체간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기술적 진보에 기인한 매체의 속성 변화는 방송과 통신을 개별적인 영역으로 지탱해 주던 이념적 개념의 변화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에 적용되던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다채널 방송에 적용하는 데 따르는 타당성이 점검되고 있으며, 매체는 점차 개인화한 정보와 오락을 송수신하는 도구로 개념을 재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이 즐기는 보편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 시대적 대중매체는 앞으로도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매체의 다변화·다채널화는 소수의 수용자들이 원하는 내용까지도 세분하여 제공하는 사업자들을 탄생시킬 것이며, 수용자들은 나름대로의 취향에 따라 더욱 분극화해 갈 것임은 분명하다.
 

Posted by HS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