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기립하라, ‘교양’ 있게 | |||||||||||
이 전설 같은 이야기는, 사실은 그냥 전설일 뿐이다. 실제로는 평소에도 시간관념이 부족했던 조지 2세가 연주회장에 늦게 나타났고, 게다가 교양 없이 진행중인 연주를 무시하면서 입장했기 때문에 신하와 귀빈들이 공연 중에 어쩔 수 없이 일어났다는 주장 쪽이 더 그럴 듯하게 들린다(교양은 멀고 정치는 가깝다). 지각 때문이든 다리 저림 때문이든 아니면 진짜 감동해서든 그 유래의 이유나 사실이 어떻든 간에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 <메시아>의 마지막 곡이 연주되면 모두 기립하는 것이 ‘교양’으로 간주된다. 기립으로 경의를 표한다는 관습. 요즘도 많은 영화의 홍보문구에서 종종 발견되는 ‘기립박수’라는 개념 역시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공연이나 영화 같은 문화적 재화가 전달해 주는 감동이 특이점에 달할만큼 좋으면 그 좋은 감정을 일반성을 벗어난 행동, 즉 기립을 통해 표현한다는 말인데, 여기에는 ‘착석은 일반’이고 ‘기립은 특수’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다시 말해 일단 공연이란 모름지기 앉아서 보는 것이라고 기정(旣定)되어 있다는 뜻이다. “불편한 몸이 교양을 받아들일 마음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라”라는 식의 독트린이라도 따르는 것일까. 그러나 어떤 공연은 이런 ‘몸의 불편’을 잊게 할만큼 강한 유포리아(uphoria)를 경험하게 하는 모양이다. 두 시간이고 세 시간이고 서서 봐도 불편하지 않으니 말이다. | |||||||||||
# 2. 서서 뛰다, ‘發光’하다 | |||||||||||
홍대 앞의 ‘드럭’을 비롯한 많은 공연장을 한번이라도 다녀보신 분들은 그 장면이 전혀 낯설지만은 않을 것이다. 서서 듣는 음악은 혼을 빼놓을 만큼 즐겁다는 것, 땀 흘리고 생판 모르는 사람과 몸을 부딪히면서 때로는 발을 구르기도 하고 때로는 공연자를 향해 찌를 듯 손을 뻗어 보기도 하는 스탠딩(standing) 콘서트의 매력을 많은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뒤늦은 주류 언론이 스탠딩이란 말을 상용구로 쓰기 훨씬 전부터 말이다. | |||||||||||
# 3. De La Guarda | |||||||||||
이런 현상의 대표적인 예가 작년부터 세종문화회관에서 장기공연중인 <델라구아다(De La Guarda)>이다. 서있는 관중들 위로 천정에 매달린 공연자들이 뛰어 내린다. 관중들은 공연의 일부다. 단지 봐주는 사람 혹은 기록자의 피동적 입장을 넘어서 그들은 공연의 배경이 되기도 하고, 공연의 소품이 되기도 하고, 공연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이런 제의적 일체감을 잊지 못하는 관객들은 이 공연에 사로잡혀 몇 번이고 몇 번이고 다시 오게 된다. | |||||||||||
우리는 오래 전부터 서있었다 | |||||||||||
최근 언론 매체에서는 ‘스탠딩’이라는 말을 자신의 트렌디 사전에 추가시켰다. 마치 실체가 없고 개념뿐이었던 ‘X세대’와 마찬가지로, 이 말은 기성세대를 겁주고 젊은이들을 소비하게 만드는 자본주의식 매체 운용의 한 도구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편한 게 편한 거라고, 이 개념에 급조된 분류를 적용시켜 ‘스탠딩 문화’라는 조악한 패키지를 만들어 내놓고 있다. 이 스탠딩 문화라는 패키지 안에는 서서 보는 공연, 서서 하는 파티 등 인문학적 견지에서는 전혀 상관 없는 것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게다가 구색을 맞추고 항목을 늘리기 위해 ‘스탠딩 코미디’라는 국적 불명의 용어까지 만들어 같은 스탠딩 패밀리 리스트에 추가시켰다(스탠딩 코미디라는 말은 없다. 스탠드업 코미디가 정확한 명칭이다). 이런 식의 트렌드 리포트를 읽노라면 마치 요즘 젊은이들이 갑자기 서는 것을 좋아하기 시작한 것이 아닐까 싶은 착각마저 든다. 그리고 여기 그럴 듯하게 일부 몇몇 사람들은 위조된 진단서 끊어주듯 ‘바쁘게 돌아가는 완성체의 산업사회에 걸맞은 트렌드’ 라고 전문가의 소견을 첨부한다. 그러나 이것은 지하철 경로석 위에 붙은 ‘나는 젊으니 서서 간들 어떠리’라는 표어처럼 늙은이들을 소외(?)시키기 위해 가열찬 노력을 하고 있는 언론에 의해 설정된 이 시대의 젊은이들이 새로 도입시킨 것은 아니다. 일어서서 보는 공연도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선 채로 교류하는 파티 역시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내가 어제 코끼리를 처음 봤으니까 코끼리는 어제 처음 발견된 거라는 식의 이야기는 좀 곤란한 것이 아닌가. 이런 이야기를 그냥 수용해버리는 것은 그 ‘트렌드’와 ‘트렌드의 실체’가 속해 있는 총체적 문화상황에서 자신의 생활이 그만큼 멀어져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이야기이다. 신문을 덮고 TV를 끄고 근처 라이브 클럽을 가보면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래왔듯 거기선 아직도 서서 공연을 즐기고 있다. 거기엔 수 천 년 전, 풍요와 생존을 기원하며 불을 피고 춤을 추고 탑을 돌고 마을 가운데를 가로질러 행진하던 전통의식의 모습이 있다. 그래서 스탠딩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그리운 것’에 가까운 것이다. |
'Archive > Webzine 200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3/05-06 : Special Edition - 멀티미디어 시대의 活字와 映像 - 읽기와 보기의 커뮤니케이션적 의의 (0) | 2010.08.09 |
---|---|
2003/05-06 : Marketing Guide - LG애드 네티즌 분석 보고서 (0) | 2010.08.09 |
2003/05-06 : Case Study - Different에서 Better로 (0) | 2010.08.09 |
2003/05-06 : LG애드소식 (0) | 2010.08.09 |
2003/05-06 : 프로모션 현장 - 2003 ICC Cricket World Cup, South Africa (0) | 2010.08.09 |